전체 글25 문자열 포함 여부 확인하기(find(), in, not in) 문자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문자열이 있는지 확인해야 할 때가 있다. 물론 확인해야 하는 문자열 갯수가 적고 길이까지 짧다면 직접 확인이 가능하겠지만, 일을 하다 보면 그런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러한 경우에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자. (1) find 함수 이용 : 첫 번째 방법은 find 함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바로 예제로 이해해보자. 이렇게 find 함수에 내가 찾기를 원하는 문자열을 넣어주면, 해당 문자열이 있는 경우 해당 문자열이 있는 index값을 반환한다. text 변수에서 10번째 index가 P00H의 P이기 때문에 10을 반환한 것이다. 그럼 내가 찾기를 원하는 문자열이 없는 경우는 어떨까? 이 경우는 -1을 반환한다. text 변수에 PIGLET이라는 문자열이 없으므로 -1을 반환했다. .. 2021. 8. 5. for문으로 동적 변수 생성하기 일을 하다 보면, 여러 변수를 생성해야 될 일이 있다. 특히 비슷한 내용들인 경우 같은 변수에 숫자만 추가하여 생성하는 경우가 있다. 변수가 적은 경우는 상관없는데, 변수가 엄청 많은 경우 이렇게 일일이 생성하는 것은 너무 비효율적이다. 이럴 때는 반복문을 통해 변수를 생성해주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나하나 생성할 수도 있지만 반복문을 통해 변수를 생성해보도록 하자. 아래처럼 globals()를 이용하면 된다. 똑같이 변수를 print해보면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변수에 숫자가 여러 개인 경우는 어떻게 할까? 간단하다. 그냥 추가해주면 된다. 이렇게 변수에 숫자가 2개씩 있다. 하지만, 규칙만 발견할 수 있다면 아까처럼 반복문으로 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주면 끝이다. list.. 2021. 7. 23. OCI runtime exec failed: exec failed: container_linux.go:380: starting container process caused: exec: "/bin/bash": stat /bin/bash: no such file or directory: unknown Docker Container를 실행하려고 했는데, 이러한 에러가 발생하였다.(그림이 안 보이면, 웹페이지를 확대해주세요!) 에러를 해석해보면, /bin/bash 파일 또는 디렉토리가 없다는 의미이다. 검색을 해보니, Docker image가 Alpine인 경우, /bin/bash를 사용하여 Docker Container에 접속하려고 하면, 이런 에러가 발생한다고 한다. 그래서, 필자가 사용한 Docker image를 확인해봤더니 역시나 Alpine으로 되어 있었다. 이런 경우는 /bin/bash 대신에 /bin/sh를 사용하면 된다. $ docker exec -it [Container ID] /bin/sh /bin/sh를 사용하니 Docker Container에 잘 접속된다. 참고 사이트 - https.. 2021. 6. 25. 워커 노드에서 kubectl 명령어 실행하기 현재 Kubernetes 클러스터는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 1개로 구성되어 있다. gpuserver2는 마스터 노드이고 gpuserver3는 워커 노드이다. 화면에도 보이듯이 마스터 노드에서는 kubectl 명령어로 노드 상태나 Pod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워커 노드에서도 확인할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워커 노드에서는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다. 직접 해보면 위와 같이 에러가 발생한다. 하지만, 방법이 있다. 마스터 노드를 보면 /etc/kubernetes에 admin.conf 파일이 있다. 이 admin.conf 파일을 워커 노드로 복사한다.(복사는 알아서...) 이렇게 워커 노드에 admin.conf를 복사를 해놓으면 이제 아래처럼 해주면 끝이다. 사실 이는 처음 설치할.. 2021. 4. 27. 이전 1 2 3 4 5 ··· 7 다음